챗GPT 리스크는 누가 책임져야 할까
챗GPT 리스크는 누가 책임져야 할까
  • 권경은
  • 승인 2023.05.10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디어 디코딩]
"모든 기술에는 명과 암 잠재 돼 있어"
"AI 관련 리스크 방지책 마련, AI 기술 개발사들이 책임져야"
ⓒChatGPT
ⓒChatGPT

챗GPT(ChatGPT)가 세상에 나온 후, AI(인공지능)가 독이 되지 않고 약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지난 3월 30일엔 일론 머스크를 포함한 업계와 학계 인사들은 AI 개발을 6개월 동안 멈추자는 서한에 공동 서명을 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이같은 우려 속에 미국 정부는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Alphabet)과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 앤트로픽 등 AI 기업 대표들을 불러 미국 국민들을 AI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논의할 것이라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백악관은 AI 개발사들에게 잠재적인 위험과 피해를 완화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준비할 책임이 있다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소셜 미디어를 예로 들며, 강력한 기술에 대한 안전장치가 없을 때 어떤 해를 끼칠 수 있는지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강력한 새로운 기술은 미디어 생태계를 변화시킨다. 소셜 미디어가 웹 2.0 시대를 열었을 때도 그랬다. 소셜 미디어가 확산된 초기 변화 가운데, 사람들은 소셜 미디어의 명암 중 밝은 면에 주목했고 플랫폼을 통한 공유와 집단 지성을 통해 인간은 더 현명해지고 세상은 더 좋은 곳이 되고 있다고 믿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인가 어두운 지점들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어느새 플랫폼 기업들은 독점 기업이 됐고, 사람들은 끼리 끼리 모이며 집단 오류와 편향에 빠지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사기와 허위 정보 유포, 그리고 개인정보 유출이라는 문제가 대두됐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대처는 이제야 이뤄지고 있다. 미국에 기반을 둔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 법안들이 최근에서야 나오고 있다. 지난해 유럽 연합(EU)은 플랫폼 이용자 보호를 위한 법을 합의해 이달부터 빅테크 기업에 적용할 예정이락 밝혔다.

플랫폼 기업을 상대로 한 법적 분쟁 소식도 들린다. 국내 기업과 이용자들이 넷플릭스, 구글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국내 이용자들은 이용자 정보를 미국 정보 기관에 제공한 구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한국 대법원으로부터 제공 내역을 공개하라는 판결을 받아냈다.

플랫폼 기업에 대한 대응도 이렇게 늦게 나왔는데, 이제 또 챗GPT가 상용화되기 직전이라고 한다. 안전장치 없이 확산된다면 어두운 부분은 반드시 따라오게 돼 있다. 모든 기술에는 명과 암이 잠재돼 있다. 이러한 리스크 방지책 마련은, 이용자들이 아닌 AI 기술 개발사들이 져야 할 책임이다. 

Tag
#챗GPT

관련기사